2024.06.01 (토)

  • 구름많음속초15.0℃
  • 구름많음19.9℃
  • 구름조금철원19.1℃
  • 구름조금동두천19.6℃
  • 구름조금파주19.6℃
  • 흐림대관령10.7℃
  • 구름많음춘천19.8℃
  • 맑음백령도15.8℃
  • 구름많음북강릉14.7℃
  • 구름많음강릉16.1℃
  • 구름많음동해14.9℃
  • 맑음서울20.3℃
  • 맑음인천19.2℃
  • 구름조금원주20.3℃
  • 구름많음울릉도15.5℃
  • 맑음수원17.3℃
  • 구름조금영월17.0℃
  • 맑음충주19.5℃
  • 맑음서산16.5℃
  • 구름많음울진15.1℃
  • 맑음청주20.3℃
  • 맑음대전19.2℃
  • 맑음추풍령18.7℃
  • 구름조금안동17.8℃
  • 맑음상주20.2℃
  • 비포항17.7℃
  • 구름조금군산16.8℃
  • 구름조금대구19.4℃
  • 구름조금전주17.8℃
  • 흐림울산17.3℃
  • 구름많음창원19.8℃
  • 맑음광주18.4℃
  • 구름많음부산19.1℃
  • 구름조금통영19.9℃
  • 구름조금목포17.9℃
  • 구름조금여수21.8℃
  • 구름조금흑산도16.2℃
  • 맑음완도18.8℃
  • 맑음고창17.4℃
  • 맑음순천17.8℃
  • 맑음홍성(예)17.7℃
  • 맑음18.3℃
  • 맑음제주18.7℃
  • 맑음고산17.5℃
  • 구름조금성산18.0℃
  • 맑음서귀포19.7℃
  • 구름조금진주19.8℃
  • 맑음강화19.4℃
  • 맑음양평20.0℃
  • 맑음이천18.8℃
  • 구름많음인제16.2℃
  • 구름조금홍천18.8℃
  • 구름많음태백12.7℃
  • 구름많음정선군15.2℃
  • 맑음제천18.5℃
  • 맑음보은17.1℃
  • 맑음천안18.1℃
  • 맑음보령15.8℃
  • 맑음부여18.0℃
  • 맑음금산18.4℃
  • 맑음18.4℃
  • 구름조금부안17.6℃
  • 구름조금임실16.7℃
  • 구름조금정읍16.9℃
  • 구름조금남원18.3℃
  • 구름조금장수15.1℃
  • 구름조금고창군16.8℃
  • 맑음영광군17.2℃
  • 구름조금김해시18.8℃
  • 구름조금순창군18.3℃
  • 구름많음북창원20.7℃
  • 구름많음양산시19.8℃
  • 맑음보성군19.6℃
  • 구름조금강진군19.0℃
  • 구름조금장흥19.2℃
  • 구름조금해남18.5℃
  • 구름조금고흥19.8℃
  • 구름많음의령군21.6℃
  • 구름조금함양군19.6℃
  • 맑음광양시20.2℃
  • 구름조금진도군17.6℃
  • 흐림봉화16.5℃
  • 구름조금영주17.9℃
  • 맑음문경19.4℃
  • 구름많음청송군16.2℃
  • 구름많음영덕15.8℃
  • 구름많음의성19.4℃
  • 맑음구미20.2℃
  • 구름조금영천17.5℃
  • 구름많음경주시18.5℃
  • 구름조금거창16.9℃
  • 구름조금합천21.0℃
  • 구름많음밀양20.8℃
  • 구름조금산청20.2℃
  • 구름조금거제19.4℃
  • 구름조금남해21.3℃
  • 구름많음19.5℃
[김성윤 칼럼]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김성윤 칼럼]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

12인연법과 고집멸도(苦集滅道)의 사성제&오음성고(五陰盛苦)

2949438326_ELFnudHQ_EAB980EC84B1EC9CA4EAB590EC88983.png
▲김성윤 이사장 / (사)충남포럼.

[예산일보] 석가모니 부처님은 기원전 560년 음력 4월 8일, 카필라성 룸비니에서 정반왕과 왕비 마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싯다르타다.

 

싯다르타라는 말은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뜻이 있다. 

 

당시의 뛰어난 예언자들에 의하면 싯다르타는 “한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이 아니라, 세상을 구원할 부처님이 되실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 

 

싯다르타 태자는 열두 살이 되는 해에 "왜 살아 있는 것끼리 잡아먹고 먹혀야 하는 걸까?" 란 생각을 했다고 한다. 

 

모든 생명은 왜 태어나고 고통으로 허덕이다가 마침내 죽어야 하나? 도대체 무엇이 늙음과 죽음을 낳는가? 무엇으로 말미암아 늙음과 죽음이 있단 말인가?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태어남이 원인이다. 

 

그렇다면 무엇으로 말미암아 태어남이 있는가?

 

죽기 전에 죽음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아야 한다. 그런데 아무도 그걸 모르다니, 내 스스로 찾을 수밖에... 라는 생각과 함께 원인을 찾아 나서기위해 출가를 하였다. 

 

그것은 살아 있음이 원인이다. 그러면 무엇으로 말미암아 살아 있음이 있는가?

 

그것은…. 이라고 계속해서 고뇌의 원인을 차례로 거슬러 올라가 본 결과, 마지막 열두 번째에 무명(無明)이 있음을 알았다.

 

무명은 어리석음이며, 실상을 바로 알지 못한데서 오는 것이다. 따라서 무명을 없애 버리는 것이 인간의 고뇌를 해결하는 최후의 열쇠다.

 

무명이 낳은 결과가 고통의 원인이 되고, 그 원인으로 생긴 결과가 다시 원인이 되고….이렇게 열두 번 원인과 결과를 되풀이하다 보면 맨 끝에 늙고 죽음이 있다.

 

이것을 십이인연이라고 한다.

 

부처님은 이 12인연법(① 무명(無明), ② 행(行), ③ 식(識), ④ 명색(名色), ⑤ 육처(六處), ⑥ 촉(觸), ⑦ 수(受), ⑧ 애(愛), ⑨ 취(取), ⑩ 유(有), ⑪ 생(生), ⑫ 노사(老死)이다.)을 한 찰나에 알아낸 지혜의 왕이다. 

 

보살이던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얻어 마침내 부처가 된 것은 밤이 끝나 아침으로 뒤바뀌는 순간이었다. 이 순간 번뇌는 이미 사라졌다. 번뇌가 흘러나오는 것도 모두 멎었다.

 

이것을 고뇌의 최후라고 하였다. 이로써 인간의 고뇌를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래서 부처는 의왕(醫王)이요, 가장 탁월하고 현명한 고뇌에 관한 치료사다. 

 

이는 싯다르타가 출가한 지 6년 나이로는 35살 때 부다가야라는 곳의 보리수 아래서 도를 깨우쳤기에 가능한 일이다.

 

석가모니는 80세로 열반에 들 때까지 45년 동안 중생들에게 무명을 없애 버리면 늙고 병들어 죽는 일 또한 없다는 깨달음의 법을 설했다.

 

45년 동안의 모든 설법을 모아 놓은 것이 불경이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고 나서 녹야원에서 행한 최초의 설법이 고집멸도(苦集滅道)라는 사성제다.

 

첫째는 존재한다는 것은 괴로움이 있다. 이를 고성제(苦聖諦)라고 한다. 즉 고뇌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다.

 

둘째는 집성제(集聖諦)로 그 괴로움이 발생하는 데는 원인이 있다.

 

셋째 괴로움은 멸할 수 있으며 괴로움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이 멸성제(滅聖諦)이다.

 

넷째는 도성제(道聖諦)다.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에 관한 고귀한 진리를 가리킨다. 

 

수행자들아, 삶은 그 자체가 괴로움의 바다이다. 생로병사(生老病死) 즉, 세상에 태어남도 괴로움이요, 늙는다는 것도 괴로움이며, 병들고, 죽는다는 것도 괴로움이다. 한마디로 이것은 육체적인 괴로움이다. 여기에 부모 자식·형제·부부·친구·이웃·등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이 괴롭고(愛別離苦), 싫어하고 미워하는 사람을 만나야하는 것이 괴롭고(怨憎會苦). 가지고 싶은 것을 아무리 가지려고 구해도 구하지 못해서 괴롭다(求不得苦). 여기에 오온(五蘊)에 대한 집착에서 생기는 고통인 오음성고(五陰盛苦)라는 정신적인 '고해(苦海)' 즉 고통의 바다가 있다.

 

그렇다면 이 고해의 원인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욕망이다. 괴로움의 원인인 욕망을 잘라 버리면 괴로움은 저절로 사라진다.

 

이 정신적인 괴로움과 육체적인 괴로움을 팔고(八苦)라고 한다. 

 

팔고의 원인을 잘라버리는 방법은 욕심을 버리고, 시기를 버리고, 서로를 이해하는 마음으로 충만 되어야 한다. 그것이 부처님 오신 날을 기리는 마음이요, 정신이며 가르침이 아닐까?

 


3554740856_d0hDOpT4_0807.gif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