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속초12.6℃
  • 맑음13.2℃
  • 맑음철원12.8℃
  • 맑음동두천14.2℃
  • 맑음파주13.6℃
  • 맑음대관령6.6℃
  • 맑음춘천14.6℃
  • 구름많음백령도16.3℃
  • 맑음북강릉13.1℃
  • 맑음강릉13.7℃
  • 맑음동해13.0℃
  • 맑음서울17.0℃
  • 맑음인천16.6℃
  • 맑음원주15.6℃
  • 구름많음울릉도14.5℃
  • 맑음수원14.4℃
  • 구름많음영월14.4℃
  • 구름조금충주14.8℃
  • 맑음서산14.3℃
  • 맑음울진14.0℃
  • 맑음청주18.2℃
  • 맑음대전15.5℃
  • 맑음추풍령13.0℃
  • 구름조금안동15.0℃
  • 맑음상주15.3℃
  • 흐림포항16.5℃
  • 맑음군산15.4℃
  • 구름많음대구16.8℃
  • 맑음전주16.3℃
  • 비울산15.7℃
  • 구름많음창원16.4℃
  • 구름많음광주17.3℃
  • 구름많음부산16.9℃
  • 구름많음통영16.3℃
  • 구름많음목포17.3℃
  • 구름많음여수18.0℃
  • 구름많음흑산도17.6℃
  • 구름많음완도17.9℃
  • 구름많음고창14.5℃
  • 구름많음순천11.1℃
  • 맑음홍성(예)15.1℃
  • 맑음13.7℃
  • 구름많음제주19.0℃
  • 구름많음고산17.9℃
  • 흐림성산19.5℃
  • 구름많음서귀포19.7℃
  • 구름많음진주14.3℃
  • 맑음강화14.2℃
  • 맑음양평14.7℃
  • 맑음이천14.4℃
  • 맑음인제11.1℃
  • 맑음홍천14.0℃
  • 맑음태백10.9℃
  • 맑음정선군10.2℃
  • 흐림제천15.3℃
  • 맑음보은12.6℃
  • 맑음천안12.5℃
  • 맑음보령14.3℃
  • 맑음부여13.0℃
  • 맑음금산12.7℃
  • 맑음14.2℃
  • 맑음부안15.2℃
  • 맑음임실12.1℃
  • 구름많음정읍13.5℃
  • 구름많음남원13.8℃
  • 맑음장수10.8℃
  • 구름많음고창군13.3℃
  • 구름많음영광군14.1℃
  • 구름많음김해시16.0℃
  • 구름많음순창군13.1℃
  • 구름많음북창원17.1℃
  • 구름많음양산시17.2℃
  • 구름많음보성군16.5℃
  • 구름많음강진군15.3℃
  • 구름많음장흥14.1℃
  • 구름많음해남14.9℃
  • 구름많음고흥14.1℃
  • 구름많음의령군15.8℃
  • 구름조금함양군13.0℃
  • 구름많음광양시16.6℃
  • 구름많음진도군14.1℃
  • 구름조금봉화13.6℃
  • 구름조금영주14.7℃
  • 구름조금문경13.6℃
  • 구름많음청송군13.2℃
  • 흐림영덕14.0℃
  • 구름많음의성14.3℃
  • 구름조금구미15.3℃
  • 구름많음영천15.4℃
  • 흐림경주시15.8℃
  • 맑음거창13.2℃
  • 구름조금합천15.4℃
  • 구름많음밀양16.9℃
  • 구름많음산청14.4℃
  • 구름많음거제16.8℃
  • 구름많음남해16.5℃
  • 구름많음16.1℃
[임홍순 칼럼] 바람 앞 등불 에너지 위기 극복대책 시급하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임홍순 칼럼] 바람 앞 등불 에너지 위기 극복대책 시급하다

3530677157_upFz9w7f_3546978875_GWJmTh74_EC9E84ED998DEC889C_EB85BCEC84A4EC9C84EC9B90.png
▲임홍순 논설위원.

 

 

[예산일보] 유한한 에너지는 언젠가는 바닥을 드러낸다. 사용할수록 고갈되기에 단가가 올라간다. 더구나 주변의 악영향이 보태지면 위기는 심각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가스와 전기 등 에너지 요금이 급격히 오르고 있는 현실이다. 직접적 타격을 받는 유럽연합의 경우 전기요금은 지난 10년 평균보다 10배나 오르고 가스 가격은 14배나 올랐다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전력은 올 연간적자가 30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전기요금 인상요인을 부추기고 있으며 한국가스공사 미수금이 5조 원을 넘어서고 국제천연가스(LNG) 또한 10배 이상 올라 올 10월에 도시가스 요금을 올려야 한다는 관계 당국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특히 올겨울 주 소비대상인 국제액화천연가스(LNG) 가격 추이를 보면 지난 한 달 사이 60% 올랐고 1년 사이에 16배나 올랐다 한다.

 

여기에 러시아는 유럽연합 쪽으로 보내는 천연가스 수송관 밸브를 잠가 겨울철 더욱 심각한 상황이 초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유럽연합은 작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 에너지 장관회의를 소집하였고 앞으로 더 자주 개최할 예정으로 있다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카타르, 호주, 미국 등에서 LNG를 주로 수입하지만, 러시아에서도 수입국 7위에 올라 있다.

 

그러기에 러시아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야멸차게 단절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상황이 유럽연합으로 또 우리나라까지 나비효과로 번지고 있기에 이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해야 하는데 지금의 우리 주변 현실은 너무 태평하고 한심스럽다.

 

정치권은 당 대 당 또 당내 내부싸움으로 일관하여 이런 심각한 위기상황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남 일처럼 생각하고 있다.

 

국민 또한 정부의 위기의식 홍보 부재나 매스컴의 무관심으로 코앞으로 다가온 에너지 위기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러다 막상 가스와 전기 등 공공요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하면 그때서야 불만을 표출하고 또 그러다 보면 국가재정이나 관련 공공기관의 재정 악화만 심화하는 것이고 결국 국민에게 더 큰 피해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국가는 국가대로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공공기관은 공공기관대로 국민은 국민대로 에너지 위기 대책을 슬기롭게 넘길 대책과 준비를 착실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이라고 했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 닥쳐도 준비만 제대로 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는 정치인들은 서로 죽는 피를 튀기는 정쟁의 구렁텅이에서 빠져나와 시급한 현안인 국가의 위기극복을 위해 노력해 주고 정부는 단계별 에너지 위기극복 대책을 심도있게 마련하며 국민 또한 에너지 절약 동참에 적극적으로 나서주어야 할 것이다.


3554740856_d0hDOpT4_0807.gif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